async

공부!/OS

Sync / Async / Blocking / Non-Blocking

머리로 이해하고 마음으로 느껴야하는 토픽인 것 같다--! 내 나름대로 이해한 것을 이해의 과정에 따라 정리해보겠다. 1. 개념적 차이 1) Blocking vs Non-Blocking : 호출하는 쪽에서 "블락(막힘)" 당하는가? 블로킹은 보통 "막히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배구에서 스파이크를 치려는데 블락 당하거나, 특정 사이트의 접근이 블락 당하거나.. 이런 의미에서 Blocking / Non-Blocking은 호출하는 쪽에서 일을 할 수 있냐의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Blocking이라면 블락당해서 결과가 전해질 때까지 호출하는 쪽은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대기하고, Non-Blocking이라면 결과의 여부와 상관 없이 호출하는 쪽에선 무언가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제어..

프로젝트/식단관리 (express + mongo)

[식단관리 프로젝트] 3. Error handling

1. Express Middleware error handling 전에, Express에서 middleware를 어떻게 돌리는지부터 알아보자. (기본 중의 기본이라.. 먼저 정리했어야하지 않나 싶은 내용이긴 하다) express의 미들웨어란,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들어오고 서버에서 응답이 나갈 때까지 req와 res 객체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동작들의 집합이다. request -> middleware1 -> middlware2 -> ... -> middlewareN -> response 의 과정을 거친다고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미들웨어는 request object, response object, next function을 인자로 가지는 funtion이다. request는 말 그대로 유저의 요청 오브젝트,..

김부추
'async'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