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Network

공부!/Network

HTTP 버전별 변천사

초간단하게 알아보는 HTTP/0.9부터 HTTP/3까지의 내용 !!! 머릿속에 남겨놓고 싶어서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보았다. 1. HTTP/0.9 : 원시 HTTP HTTP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로써, www를 통해 hyper text를 요청 - 응답 구조로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최초의 HTTP는 정말 단순히 "요청"에 대한 "응답"만을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었다. 요청은 형태로 단 한 줄 만이 존재했고 응답 역시 단순 HTML만이 있을 뿐이었다. 헤더? 이딴거 없었다. 또한 응답을 받으면 TCP 커넥션을 바로 끊어버렸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버에 여러번 요청을 날려도 매 요청마다 핸드셰이킹 과정을 거쳐야했다. 버전 0.9라는 것도, 지금 와서 최초의 HTTP를 표현하기 위..

공부!/Network

HTTPS와 TLS/SSL

1. HTTPS 사용하는 이유 오늘날 많은 사용하자가 이용하는 사이트에서 http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http가 무엇인지는 알겠지? 웹 서버 자원에 대한 응답-요청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네이버를 가도, 구글을 가도 URL schema를 확인하면 모두 "https"가 가장 앞에 붙어있다. 일부러 http://라고 맨 앞에 붙여도 다시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주소로 리다이렉트 될 뿐이다. HTTPS는 HTTP에 Security의 S가 추가된 프로토콜로써, 조금 더 secure한 HTTP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뭐 대충 알겠지만, 왜 HTTPS가 선호될까? 1) HTTP는 보안에 취약 http는 평문 통신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별다른 암호화를..

공부!/Network

Nginx 맥북에 설치하고 포트포워딩 해보기

1. 초간단 배경지식 : 공인/사설IP, NAT, 포트포워딩 IPv4는 표현할 수 있는 주소가 약 43억개(32bit)로, 21세기 지구촌의 모든 전자기기를 각각의 IP 주소로 표현하기엔 모자라다. 주소를 표현하기 위해 128비트를 사용하는 IPv6가 등장했지만, 현재 구축되어있는 IPv4 세계를 바꾸기 위해선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기 때문에 기존 IPv4의 수명을 늘리는 여러가지 방식들이 고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사설IP와 공인IP를 이용한 NAT와 포트포워딩이다. 말한 것처럼 존재하는 모든 기기에 고유한 IP 주소를 붙이는 것은 주소의 낭비가 심하므로, 하나의 네트워크 단위로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유효한 사설 IP를 할당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공인 IP주소는 전세계 IP주소를 관리하는 공식 기관이 ..

공부!/Network

TCP/IP 2계층 : 인터넷 계층

1. 인터넷 계층 : 그래서 이 패킷은 어디로 가야하오. TCP/IP 4계층에서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도착한 세그먼트들을 조합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3계층에선 컴퓨터까지 도달한 패킷들을 컴퓨터의 어떤 프로그램이 이용하는지 구분하여 전달한다. 2계층인 인터넷 계층에서는 패킷을 목적지 컴퓨터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계층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IP 프로토콜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3,4계층과는 달리 2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IP 프로토콜입니다~ 라고 말해도 괜찮을 정도다. IP 프로토콜이란, 2계층 PDU인 패킷이 헤더에 적힌 'IP 주소'라고 불리는 컴퓨터의 논리 주소로 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 과정엔 라우터라 불리는 장비가 ..

김부추
'공부!/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