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공부!/Network

OSI 7계층

# 기본 지식 네트워크란 전세계의 기기들이 리소스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연결한 유무선의 통신 체계이다. 메일을 보낸다거나 SNS를 이용하는 등으로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에 통신을 한다고 하면, 사용자들은 정상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기대할 것이다. 정상적으로 이뤄진 네트워크 통신이란 무엇일까? 데이터를 교환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에 맞는 통신을 해야한다. 메일을 보낼거라면 메일에 맞는 형식의 통신을, 파일을 교환할거라면 파일 교환에 맞는 형식으로 통신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데이터의 교환이 신뢰성있게 이뤄져야 한다. 여기서 신뢰성이라는 말은, 내가 보내고자 하는 내용이 순서대로, 오류 없이 전송된다는 의미이다. 내가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에게 데이터가 잘 도착해야 할 것이다. A에게 보낸 데이터가 엉뚱한 B..

공부!/OS

Sync / Async / Blocking / Non-Blocking

머리로 이해하고 마음으로 느껴야하는 토픽인 것 같다--! 내 나름대로 이해한 것을 이해의 과정에 따라 정리해보겠다. 1. 개념적 차이 1) Blocking vs Non-Blocking : 호출하는 쪽에서 "블락(막힘)" 당하는가? 블로킹은 보통 "막히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배구에서 스파이크를 치려는데 블락 당하거나, 특정 사이트의 접근이 블락 당하거나.. 이런 의미에서 Blocking / Non-Blocking은 호출하는 쪽에서 일을 할 수 있냐의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Blocking이라면 블락당해서 결과가 전해질 때까지 호출하는 쪽은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대기하고, Non-Blocking이라면 결과의 여부와 상관 없이 호출하는 쪽에선 무언가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제어..

공부!/웹개발

AWS에서 도메인 구매하기

뭐 이런 것까지 튜토리얼이 필요할까 싶을 정도로 쉬운 도메인 구매!! 1. AWS Route53 서비스에 접속한다. 본인은 과거에 도메인 네임 하나를 구매했기 때문에 도메인 1개가 등록되어있는 상태이다.. 2. 도메인 > 등록된 도메인 > 도메인 등록 위의 화면에서 파란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다시 한 번 언급하자면 buchu-meal은 예전에 구매했던 도메인 네임이다. 3. 등록하고 싶은 도메인 이름 설정 + 원하는 이름 장바구니에 추가 4. 요구하는 기본 정보들 (이메일, 연락처 등) 작성 후 등록 마지막으로 주문 완료 후 결제가 끝나면 대기 중인 도메인 요청에 방금 신청한 도메인 이름이 들어가게 된다. 이후 2-3분 정도 대기 후에 결제 완료 문자와 메일이 도착한다. 그 뒤 도메인 등록이 진행되고,..

공부!

aws로 웹서버 배포하는데 생겼던 몇 가지 이슈

1. key 문제 EC2 인스턴스 생성 후 pem키를 받아쓰는데 .pem키를 아무리 뭐 어쩌고.. 해봐도 auth failed 메세지가 떴다. 뭐 key is too opened이라길래 설마설마 했는데 EC2 보안 가이드에 나온대로 chmod 400 ""를 하니 말끔히 해결됐다. "key is too opened" 어쩌구 오류가 뜨면 key가 있는 디렉토리에 가서 아래 커맨드를 입력하자. 400은 rwx에 관한 권한 설정이다. 110000000 인데.... 이건 access control 관련 공부를 했으면 알 내용이니 패스. $ chmod 400 .pem +) 인스턴스 생성하고 RSA 키페어를 만들 때 mac에선 키 파일이 기본적으로 .cer 확장자로 받아지게 된다. cer -> pem 바꾸기 커맨드를..

김부추
'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6 Page)